뽀미의 개발노트

클라우드와 VM 이해하기 본문

Go lang

클라우드와 VM 이해하기

산타는 뽀미 2024. 12. 20. 23:29

Azure는 GCP 경쟁 제품 아닌가?? 어케 이런 그림이 존재하지??;;

 

회사에서 이번에 클라우드로 갈아탔다. 비용을 줄이기 위해 AWS가 아닌 GCP를 선택했다. 클라우드는 매번 많이 들어왔고 개념도 어렴풋이는 알고 있었지만 누가 물어보면 설명 못 할것 같아서 이번 기회에 공부해버리기~~!!

 


GCP(Google Cloud Platform)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AWS, Azure 등 클라우드 산업에서 하는 일이랑 비슷함. 구글의 지원 덕분에 빠르고 강력하게 성장중. 

  1. 아마존-AWS : 클라우드 점유율 1위
  2. 네이버 클라우드 : 국내 1위. 국내 공공기관 서비스 하려면 여기서 많이 함.
  3. MS-Azure : 클라우드 2위. 게임업체에서 많이 사용
  4. Google-GCP : 클라우드 3위. 빅쿼리 등 많은 데이터 처리에 강점. 돈이 덜 나와서 가장 쉽게 접근 가능함.

외에도 카카오 클라우드, 가비아 클라우드, Oracle 클라우드 등등이 존재함. 클라우드 자격증이라는 것도 존재함. 

 

클라우드를 이용해야 하는 이유 : ‘pay-as-you-go(니가 쓴만큼만 내라)’

on-Premise란? : 전산실(데이터 센터)를 자체적으로 보유해서 실물 서버로 관리하는 것.

→ 영화에서 많이 봤던 이런 서버실. 

서버는 리눅스 깔린 컴퓨터인데, 데이터 센터에 서버 모아놓고 사용할때, 만약 접속자 수만큼 서버를 쓴다면?? 항상이 아니고 가끔 열릴때는 접속자수가 몇십배 많아지고, 평소에는 적으면 → 서버를 많이 썼다가 조금 썼다가 할 수도 없고,, 많이 몰리는 때를 예측할 수도 없어서 애매함,,,

그래서 나온게 클라우드!!!! 클라우드를 사용하면 → 접속자수당 서버를 쓰는게 아니라 초당 쓸 수 있음. 그러면 VM 사용해서 알아서 서버를 늘려줌!! 우리 프로그램은 국내용 프로그램이므로 낮과 밤 시간에 따라 접속자수가 아예 없을 때도 있는데, 그럴 때는 조금만 사용하고 많을때는 많이 사용해서 돈이 훨씬 절약될 수 있음!! 즉 자원 과잉과 부족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임. AWS가 세계 짱이라 많이 비싸고 GCP는 훨씬 쌈. AWS에 비해 GCP는 분당 가격으로 산정함. (AWS는 시간당 가격) 그래서 우리도 GCP를 쓰려고 하는 것.

VM (Virtual Machine)

하드웨어가 존재하는 물리적 컴퓨터와 다름. CPU, 메모리 등이 있고 인터넷에 연결 가능하지만 코드로만 존재함. 실제 물리적 서버가 있고, 그 서버에서 CPU, 메모리, 스토리지를 빌려와서 가상 버전의 컴퓨터를 만드는 것임. VM(게스트)는 물리적 머신인 서버(호스트)의 나머지 부분과 독립적으로 존재함. 하나의 물리적 서버에서 여러 VM을 실행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늘어난다고 해서 새 서버를 구매할 필요가 없음.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비용도 절감할 수 있음. 



'Go la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pher 덕질하기  (2) 2024.12.22
API 설계방식 (restful API / gRPC / graphQL) 비교  (1) 2024.12.20
Go 프레임워크 + 테스트코드 라이브러리  (0) 2024.12.20
Go 고루틴과 채널  (1) 2024.12.20
Go는 exception이 없다  (0) 2024.12.20